보안 실무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년 상반기 주요 보안 이슈 아카이브 – 실무에 꼭 필요한 인사이트 정리 2025년 상반기는 유례없이 다양한 보안 사건이 연이어 터지며 보안 실무자들에게 많은 인사이트를 던져주었습니다.이번 아카이브에서는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 발생한 주요 보안 이슈들을 정리하고, 실무 관점에서 어떤 대응이 필요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SKT 유심 백도어 사건 (2025년 2월)수만 개의 유심칩에 백도어가 심어진 사실이 드러나며 큰 충격을 준 사건입니다.보안 키 관리 체계와 공급망 보안(Supply Chain Security)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켰으며, 통신사 내부 개발 프로세스 전반의 보안 검증 강화 필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펌웨어에 삽입된 코드 분석 결과, 원격 명령 실행 가능성 있음 실무 대응: 통신망 장비 및 칩셋 레벨 코드 리뷰 프로세스 구.. 더보기 보안 실무에서 유용한 AWS 기능 TOP 5 AWS를 사용하는 조직에서 보안 실무를 맡고 있다면 어떤 기능들을 반드시 알고 써야 할까요?이 글에서는 AWS 환경에서 보안 관점으로 필수적인 5가지 기능을 선정하고, 실무 적용 시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지 함께 정리합니다.···1️⃣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을 실현하는 핵심 도구✔ IAM 정책, 권한 경계, 역할(Role) 기반 접근 통제 가능✔ 실무 팁: IAM Access Analyzer로 불필요한 외부 공유 탐지···2️⃣ CloudTrail✔ 계정 내 모든 API 호출 기록을 추적 (누가 언제 무엇을 했는가?)✔ 보안 사고 대응 시 근거 확보 필수✔ 실무 팁: Lake + Athena 조합으로 로그 쿼리.. 더보기 [클라우드 보안 실무 #1] AWS WAF, 도입보다 중요한 운영 전략 AWS WAF는 비교적 손쉽게 시작할 수 있는 보안 서비스입니다.하지만 단순히 룰을 적용하는 것과, 실무에서 운영 가능한 형태로 설계하는 것은 전혀 다릅니다.다양한 산업군에서 수백 개의 WebACL을 운영해오며 경험한 내용을 기반으로, 문서에는 없는 실질적인 운영 전략을 정리해봅니다. 📌 운영의 출발점은 “무엇을 막을 것인가”가 아니다공식 문서는 룰 설정부터 시작하지만, 실무자는 먼저 이런 질문부터 던집니다.현재 유입되는 트래픽의 특징은 무엇인가?어느 수준까지를 허용할 것인가?대응 가능 인력과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이 기준이 없으면, WAF는 단지 "Count 모드에 놓인 룰 더미"로 끝나기 쉽습니다. 🔍 실무 운영에서 효과적인 세 가지 기준우선순위는 룰의 성격에 따라 명확히 그룹화IP/.. 더보기 이전 1 다음